반응형
SMALL

맛집 108

[Linux] hostname 변경하기

리눅스에서 호스트네임을 변경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호스트네임 확인하기 현재 시스템의 호스트네임을 확인하려면 다음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hostname 호스트네임 변경하기 호스트네임을 변경하려면 다음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sudo hostnamectl set-hostname [새로운 호스트네임] 예를 들어, 호스트네임을 "myserver"로 변경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 sudo hostnamectl set-hostname myserver 변경된 호스트네임은 시스템을 재부팅하거나,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여 즉시 적용할 수 있습니다. sudo systemctl restart systemd-hostnamed /etc/hosts 파일 수정하기 호스트네임을 변경하면 /etc/hosts 파일도 수정해야 ..

Linux 2023.05.05

[IT잡지식] pem, jks, crt, p12, der 인증서 형식 및 인증서 종류(DV, OV, EV) 비교표

다음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인증서 형식인 PEM, JKS, CRT, P12, DER 을 비교한 표입니다 인증서 형식파일 확장자인증서/개인키 포함 여부 인코딩방식 사용처 PEM .pem, .crt, .key, .cer 인증서 및/또는 개인키 Base64 인코딩 웹서버, 메일서버 JKS .jks, .keystore 인증서 및/또는 개인키 이진 포맷 Java 애플리케이션 CRT .crt, .cer 인증서만 Base64 인코딩 웹서버, 메일서버 PKCS#12 .pfx, .p12 인증서 및 개인키 이진 포맷 웹서버, 메일서버, VPN DER .der, .cer 인증서 및 개인키 이진 포맷 X.509 인증서, Java 애플리케이션 및 일부 네트워크 장비 PEM은 주로 웹서버나 메일서버에서 사용되며, 인증서 및/또는..

IT잡지식 2023.05.02

[IT잡지식] IIS, IHS, Apache, Nginx 등 Webserver 비교표

아래 표를 참고하여 각 웹 서버의 특징을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각 웹 서버는 사용자의 요구사항과 운영체제 환경, 기술적인 요소 등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해야 합니다. 웹서버 설명 장점 단점 IIS Microsoft에서 개발한 웹 서버 소프트웨어 - Windows 운영체제와 함께 제공되어 사용이 편리함. - ASP.NET 등 Microsoft 기술을 지원함. - 성능이 우수함. - Windows 전용으로, 다른 운영체제에서는 사용이 어려움. - 오픈소스가 아니므로 확장성이 다소 떨어질 수 있음. IHS IBM에서 개발한 웹 서버 소프트웨어 - Apache 웹 서버의 기능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음. - IBM의 지원 및 유지보수가 제공됨. - 대규모 기업용 애플리케이션에서 안정성이 높음. - 상용 제품으로,..

IT잡지식 2023.04.27

[Linux] cpuinfo 명령어로 코어 정보 출력하기

리눅스에서는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사용하여 시스템의 코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습니다. cat /proc/cpuinfo 위 명령어를 입력하면, 현재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한 모든 CPU 정보가 출력됩니다. 이 중에서 "processor" 항목에 해당하는 값이 코어의 개수를 나타냅니다. "processor" 값은 0부터 시작하여 증가하는 정수값으로 각 코어를 구분합니다. 예를 들어, 시스템에 4개의 물리 코어가 있다면, "processor" 항목은 0부터 3까지 총 4개의 값을 가지게 됩니다. 만약 하이퍼스레딩 기술 등으로 가상 코어가 사용 가능하다면, 코어 수는 이보다 더 많을 수 있습니다. 또한, "cpu cores" 항목에는 각 CPU의 물리 코어 수가 나타나며, "siblings" 항목에는 각 CPU의..

Linux 2023.04.27

[IT잡지식] 물리코어(Physical Core)와 가상 코어(Virtual Core)의 비교표

물리 코어(Physical Core)와 가상 코어(Virtual Core)는 CPU의 성능과 관련된 용어입니다. 물리 코어는 하나의 CPU 칩 안에 실제로 존재하는 독립적인 프로세서 코어를 의미하며, 가상 코어는 물리 코어에서 하이퍼스레딩(Hyper-threading) 기술을 사용하여 가상으로 생성된 논리적인 코어를 의미합니다. 아래는 물리 코어와 가상 코어의 비교표입니다. 물리코어 가상코어 정의 CPU 칩에 실제로 존재하는 프로세서 코어 물리 코어에서 하이퍼스레딩 기술을 사용하여 생성된 가상의 논리 코어 실행 단위 독립적인 프로세서 코어 물리 코어 내의 쓰레드 성능 물리적으로 존재하는 코어이므로 실제적인 처리가 가능하며, 처리 성능이 우수함 물리 코어에서 소프트웨어적으로 생성되는 가상 코어이므로 물리 ..

IT잡지식 2023.04.26

[IT잡지식] HDD, NAS, SAN 비교표

HDD, NAS, SAN은 모두 데이터 스토리지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각각의 특성과 장단점이 있습니다. 아래는 HDD, NAS, SAN을 비교한 표입니다. HDD NAS SAN 정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네트워크를 통해 파일 기반 스토리지 시스템으로 구성된 기기 블록 기반 스토리지 시스템 인터페이스 SATA, SAS, SCSI 등 NFS, SMB 등 Fibre Channel, iSCSI, InfiniBand 등 연결 방식 직접 연결 네트워크 연결 네트워크 연결 스토리지 개별적으로 사용 중앙 집중식 분산형 공유 가능성 공유 기능 없음 다수의 사용자가 파일에 동시에 접근 가능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블록 스토리지에 접근 가능 확장성 확장성이 제한적 쉽게 확장 가능 확장성이 높음 용도 개인용 또는 소규..

IT잡지식 2023.04.25

[Linux] keytool 을 이용한 다양한 예제

keytool은 Java 플랫폼에서 인증서와 관련된 작업을 수행하는 명령행 도구입니다. keytool을 사용하면 인증서 생성, 복사, 삭제, 내보내기 및 검색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keytool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Java Development Kit (JDK)가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keytool은 JDK의 일부이며, JDK를 설치하면 keytool도 함께 설치됩니다. 옵션 설명 예제 -genkeypair 새로운 키 페어를 생성합니다. keytool -genkeypair -alias mykey -keyalg RSA -keysize 2048 -keystore mykeystore.jks -importkeystore 다른 형식의 키스토어에서 키스토어를 가져옵니다. keytool -import..

Linux 2023.04.24

[Linux] more 명령어를 이용한 사용법

리눅스에서 more 명령어는 텍스트 파일의 내용을 페이지 단위로 출력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사용자가 스크롤하면서 파일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more 명령어는 다양한 옵션을 제공하여 출력의 동작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more 명령어의 주요 옵션들을 테이블로 설명하고, 각각의 예시를 함께 제공합니다. 옵션 설명 -d 화면 하단에 "Press space to continue, q to quit"와 같은 메시지를 출력하여 스페이스바를 눌러 다음 페이지로 이동하거나, 'q'를 눌러 종료하도록 합니다. -f 파일의 끝에 도달하더라도 명령어가 바로 종료되지 않고 파일의 끝을 감시하고 있도록 합니다. 파일이 계속해서 변경되는 경우에 유용합니다. -c 화면을 초기화하지 않고 출력 내용을..

Linux 2023.04.16

[Linux] rsync 명령어를 통한 다양한 예제

rsync 명령어는 리눅스에서 파일 및 디렉토리를 동기화하는데 사용되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다음은 rsync 명령어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옵션들을 테이블로 정리하였습니다. 옵션 설명 -a, --archive 파일을 아카이브 모드로 동기화합니다. 파일 속성, 퍼미션, 타임스탬프, 심볼릭 링크 등을 보존합니다. -v, --verbose 상세한 출력 모드로 동작합니다. 동기화 작업의 진행 상황을 자세히 표시합니다. -z, --compress 파일을 압축하여 전송합니다. 네트워크 대역폭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r, --recursive 디렉토리를 재귀적으로 동기화합니다. 디렉토리 내의 모든 파일과 서브디렉토리를 처리합니다. -u, --update 대상 파일이 소스 파일보다 오래된 경우에만 동기화를 수행합니다...

Linux 2023.04.14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