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MALL

Linux 109

[Tmaxsoft] 미들웨어 TMAX 5.0 구축 하기

TMAX는 고성능 및 안정성이 뛰어난 서버를 구축하고 운영할 수 있는 다양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입니다. 미들웨어 TMAX는 서버 간 통신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고, 분산 환경에서 데이터를 관리하며, 다양한 플랫폼 및 언어를 지원하는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또한, TMAX는 미들웨어 TMAX를 이용하여 개발된 애플리케이션을 운영하는데 필요한 모니터링, 로깅, 트랜잭션 관리, 보안 등의 기능도 제공합니다. 미들웨어 TMAX는 기업용 애플리케이션의 개발 및 운영을 위한 솔루션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금융, 제조, 공공기관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WebtoB 설치 [Tmaxsoft] WebtoB 5.0 웹서버 구축하기 (tistory.com) [Tmaxsoft] WebtoB 5..

Linux 2023.03.09

[Linux] history 출력 시 날짜/시간 표시 하기

Linux의 history 명령어는 사용자가 이전에 실행한 명령어 목록을 보여주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 목록은 기본적으로 실행된 날짜와 시간을 함께 보여줍니다. 하지만 출력되는 날짜 및 시간의 형식을 변경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history 명령어의 출력 결과에 대해 날짜/시간 포맷을 변경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보안 및 감사 추적 목적으로 수행됩니다. 그러나 이러한 설정을 하더라도, 일부 사용자는 이전에 실행한 명령어를 지워버릴 수 있기 때문에 보안상 민감한 정보를 히스토리에서 보호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보안을 위해 다른 조치를 추가하는 것이 좋습니다. history 명령어 history profile 편집 vi /etc/profile profile 내용 입력..

Linux 2023.03.08

[Linux] Jira Software + MySQL 협업 툴 구축 하기 - 설치형

필자는 Jira software를 사용해보지 않았지만, 그래도 협업툴 설치는 궁금하기에 한번 도전해 보기로 한다! 많은 사이트에서 Jira Software 를 사용하고 있는 걸로 알고 있고, 또한 중요한 툴이라고 인식하고 있다. 사용하기엔 아직 스킬이 부족한지라 설치부터 해봐야 머라도 사용을 해보지 않을까 한다. MySQL 사전 작업 CREATE DATABASE jiradb CHARACTER SET utf8 COLLATE utf8_bin; GRANT ALL PRIVILEGES ON jiradb.* TO 'root'@'localhost' IDENTIFIED BY 'jirapass'; GRANT ALL PRIVILEGES ON jiradb.* TO 'root'@'Host입력' IDENTIFIED BY 'ji..

Linux 2023.03.04

[Linux] Confluence + MySQL 구축하기 - 설치형

IT에서 일하는 직장인이라면, Confluence 정도는 사용하고 있지 않나 예상한다. 하지만 유료버전을 사용해야, 상당 수의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가격적인 부담도 있다. 하지만, 그만큼 사용량이 많고, 편리한 부분도 많기에 이 서비스를 선택하는 것 같다. 회사에서 모든 행위를 기록하는 용도로 많이 쓰이기 때문에, 나중에는 confluence 가 없어지면 안 될 정도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페이지에서는 직접 다운로드하여 설치하는 과정을 소개하고자 하니, docker 기반에 설치를 할 수 없는 회사는 이 방법으로 설치하길 바란다. MySQL 사전 작업 CREATE DATABASE conflu CHARACTER SET utf8 COLLATE utf8_bin; CREATE USER 'c..

Linux 2023.03.02

[Linux] XAMPP을 이용한 APM(Apache + PHP + MariaDB) 구축하기 - Linux 설치 버전

XAMPP는 가장 인기 있는 PHP 개발 환경입니다. XAMPP는 MariaDB, PHP, purl을 포함하고, 완전히 무료이고 설치하기 쉬운 apache 배포판이다. XAMPP 오픈 소스 패키지는 설치 및 사용이 매우 쉽도록 설정되었습니다. 설치는 아래 사이트에서 windows, linux, mac 용으로 다운로드할 수 있고, 설치 진행은 매우 간단하다. 설치 후 실행하면, config 및 실행/중지도 매우 간단하게 구성되어있어서, 초보자도 누구나 설치/진행할 수 있다. XAMPP 설치 사이트 XAMPP Installers and Downloads for Apache Friends XAMPP Installers and Downloads for Apache Friends What is XAMPP? XAM..

Linux 2023.02.23

[Linux] file / type 명령어 사용법

개발 및 운영을 하는 IT인이라면, file 명령어 또는 ultra edit, acroedit 등을 이용하여 인코딩을 알 수도 있고, 인코딩 변환을 할 수 있다. 필자는 리눅스 기반 OS를 많이 들어가서 운영하고 있기 때문에, file이라는 명령어를 간혹 사용하곤 한다. file 명령어를 잘 숙지하고, 간단한 것만 알아두어도 많은 도움이 될 것 이다. file 명령어 file [옵션] [파일명] Option Description -C 매직파일의 포맷을 검사 -f 많은 파일을 한번에 확인하기 위한 파일리스트를 만들어서 여러개의 파일을 한번에 할때 -m 매직파일을 지정 -z 압축된 파일에 사용 -L 심볼릭 링크의 사용 master@master:~$ file Usage: file [-bcCdEhikLlNnpr..

Linux 2023.02.17

[Linux] OpenSSL 사설 인증서 발급하기

OpenSSL을 이용하여 인증기관을 만들고 Self signed certificate를 생성하고 SSL 인증서를 발급해 보자. 인증서는 개인키 소유자의 공개키(public key)에 인증기관의 개인키로 전자서명한 DATA 다. 모든 인증서는 발급기관(CA) 이 있어야 하나 최상위에 있는 인증기관(root ca)은 서명해줄 상위 인증기관이 없으므로 root ca의 개인키로 스스로의 인증서에 서명하여 최상위 인증기관 인증서를 만든다. 공개키, 개인키 생성 - CA 가 사용할 RSA key pair openssl genrsa -aes256 -out private-rootca.key 2048 Enter pass phrase for private-rootca.key: 비밀번호 설정 CSR(Certificate S..

Linux 2023.02.16

[Linux] rename 명령어로 파일명 일괄 변경하기

필자는 가끔 로그나, 윈도우 파일들 정리할 때 rename을 사용하여 정리하곤 한다. 물론 윈도우에서도 파일명 일괄 변경하는 방법이 있다. 아래 명령어로 특정 패턴에 대해서 rename을 해보도록 하자. rename 패키지 설치 sudo apt install rename rename 기능 master@master:~/docker2/docker/docker/tmp$ rename --help Usage: rename [ -h|-m|-V ] [ -v ] [ -0 ] [ -n ] [ -f ] [ -d ] [ -e|-E perlexpr]*|perlexpr [ files ] Options: -v, --verbose Verbose: print names of files successfully renamed. -0, ..

Linux 2023.02.12

[Linux] 리눅스/라즈베리파이4 외장하드 자동 마운트 설정

필자는 이전에 mount 명령어의 실습을 통해 외장 하드를 붙여보았다. 하지만 마운트 하였다 하더라도, 재부팅되면 다시 마운트 명령어를 사용할 수밖에 없다. 그래서 이번 페이지는 그 수고를 덜고자 자동 마운트 방법을 적어본다. 자동마운트를 하기 위해서는 fstab이라는 파일을 사용 이 파일은 라즈베리파이가 부팅할 때 자동으로 디스크를 어디에 마운트 할지를 설정해 놓을 수 있는 기능을 제공 fstab파일은 디스크파티션의 위치를 UUID라고하는 식별자를 통해 구분하기 때문에 파티션의 UUID식별자를 먼저 확인 1. 아래 명령어를 통해 파티션의 UUID를 확인 sudo blkid -o list 2. 원하는 디스크 파티션이 이름으로 UUID식별자를 확인 3. fstab 파일을 아래와 같이 에디터(nano, vi..

Linux 2023.02.01

[Linux] 리눅스/라즈베리파이4 mount 명령어 사용

필자는 라즈베리파이 4에 외장하드를 마운트 하여 사용하고 있다. 주로 클라우드 용으로, 나의 아기 사진과 동영상을 백업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하고 있다. 아래 순서대로 따라해보면서 실습을 해보자. 1. 외장 디스크를 라즈베리파이에 연결 2. 모든 디스크 파티션을 아래 명령어를 통해 확인 '/'와 '/boot'에 마운트 된 파티션은 라즈베리파이의 라즈비안이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위치입니다. 외장하드로 연결한 sda1은 아직 마운트 위치가 지정되지 않은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필자는 sda2, sda3 는 이미 마운트 하여 mount point 가 지정되어 있다. sudo blkid -o list 3. 마운트 할 파티션을 구분하기 위한 이름을 확인 예를 들면 위에서는 외장하드의 파티션인 sda1, sda2..

Linux 2023.01.31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