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MALL

명령어추천 25

[Linux] wakeonlan 명령어로 WoL 신호 호출

Wake-on-LAN (WoL)은 원격 장치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컴퓨터를 켜는 기능입니다. 리눅스에서 Wake-on-LAN을 설정하려면 몇 가지 단계를 따라야 합니다. 다음은 일반적인 방법입니다. 1. 네트워크 카드 확인: 먼저, 컴퓨터에 장착된 네트워크 카드가 Wake-on-LAN을 지원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터미널을 열고 다음 명령을 실행합니다: sudo ethtool 여기서 ``은 네트워크 카드의 인터페이스 이름입니다. 예를 들어, `eth0`이나 `enp3s0`과 같은 이름입니다. 명령을 실행하면 네트워크 카드에 대한 정보가 출력됩니다. "Supports Wake-on" 또는 "Wake-on"이라는 항목이 나타나는지 확인하고, 이 항목의 값이 "g" 또는 "d"인 경우 Wake-on-LAN을 ..

Linux 2023.06.22

[Linux] tar 압축시 여러개의 폴더제외 방법

tar 압축 시 여러 개의 폴더를 제외하는 방법은 `--exclude` 옵션을 사용하여 원하는 폴더를 제외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tar 압축 시 여러 개의 폴더를 제외하는 예시입니다: tar -czvf archive.tar.gz --exclude=folder1 --exclude=folder2 source_folder 위의 명령어에서: - `archive.tar.gz`: 생성할 압축 파일의 이름입니다. - `folder1`, `folder2`: 제외할 폴더의 이름입니다. 여러 개의 폴더를 제외하려면 `--exclude` 옵션을 반복하여 사용하면 됩니다. - `source_folder`: 압축할 대상 폴더의 이름입니다. 제외된 폴더를 제외한 나머지 폴더와 파일이 포함됩니다. 위의 예시에서는 `folder1..

Linux 2023.06.12

[Linux] jq 명령어 다양한 옵션을 통한 예제

아래 테이블은 jq 명령어의 일부 옵션과 예제를 자세히 설명한 것입니다. jq는 JSON 데이터를 처리하고 쿼리하고 변환하는 유용한 명령줄 도구입니다. 옵션 설명 예제 -c 각 JSON 객체를 단일 줄로 압축하여 출력합니다. jq -c '.' data.json -r 원시 출력을 수행하고 JSON 문자열을 제거합니다. jq -r '.key' data.json --rawfile 파일의 내용을 원시 입력으로 사용합니다. jq --rawfile file.json '.key' -s 입력을 슬라이싱하여 배열을 만듭니다. jq -s 'map(.key)' data.json .key JSON 객체의 특정 키에 대한 값을 선택합니다. jq '.name&#39..

Linux 2023.06.06

[Cloud] Cloud Foundary(cf) push 명령어 사용 시 컨테이너 버전 관리 방법

cf push 명령어를 사용하여 배포할 때 manifest.yml 파일을 사용하면 편리합니다. manifest.yml 파일에서 컨테이너 버전을 변수 처리하여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드리겠습니다. manifest.yml 파일 작성: manifest.yml 파일에는 애플리케이션 및 배포 설정을 정의합니다. 이 파일에서 컨테이너 버전을 변수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내용의 manifest.yml 파일을 작성합니다: applications: - name: my-app instances: 1 memory: 1G docker: image: my-docker-image:${CONTAINER_VERSION} 위의 예시에서 ${CONTAINER_VERSION}은 컨테이너 버전을 나타내는 변수입니다. ..

Cloud 2023.06.05

[Cloud] Cloud Foundary(cf) push 할 때 사용되는 manifest.yml 작성법

manifest.yml 파일은 cf push 명령어를 실행할 때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 및 배포 설정을 정의하는 파일입니다. 아래는 manifest.yml 파일을 자세히 작성하는 방법과 예제입니다. manifest.yml 파일에는 다양한 옵션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 applications: - name: my-app # 애플리케이션 이름 buildpacks: - java_buildpack # 사용할 빌드팩 memory: 1G # 애플리케이션에 할당할 메모리 크기 instances: 2 # 인스턴스 수 timeout: 180 # 애플리케이션 시작 시 제한 시간 (초 단위) path: ./target/my-app.jar # 애플리케이션 실행 가능한 파일 경로 env: JAVA_OPTS: "-Dserve..

Cloud 2023.06.04

[Cloud] Cloud Foundary(cf) 의 개념과 명령어 소개

Cloud Foundry (CF)는 오픈 소스의 PaaS (Platform-as-a-Service)입니다. 개발자가 애플리케이션을 쉽고 빠르게 빌드, 배포 및 운영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CF는 애플리케이션의 생명주기 전체를 관리하며, 다양한 언어 및 프레임워크로 개발된 애플리케이션을 호스팅할 수 있습니다. CF는 개발자에게 인프라 관리와 관련된 복잡성을 감소시켜 개발에 집중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합니다. CF CLI(Command Line Interface)는 Cloud Foundry를 관리하고 애플리케이션을 배포, 관리하는 데 사용되는 명령줄 도구입니다. 다양한 명령어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인스턴스, 라우트 등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 일부 주요한 cf 명령어와 간단한 사용 예제..

Cloud 2023.06.02

[IT잡지식] HTTP 1.1, 2.0, 3.0 비교표

HTTP 1.1, 2.0 및 3.0은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인 HTTP의 버전을 나타냅니다. 다음은 HTTP 1.1, 2.0 및 3.0의 주요 차이점을 설명한 비교표입니다: HTTP 1.1 HTTP 2.0 HTTP 3.0 개요 첫 번째 메이저 업데이트 두 번째 메이저 업데이트 세 번째 메이저 업데이트 요청/응답 방식 순차적 요청/응답 다중화 요청/응답 다중화 요청/응답, QUIC 전송 프로토콜 종류 텍스트 기반 이진 프로토콜 이진 프로토콜 다중화 지원하지 않음 지원함 지원함 헤더 압축 지원하지 않음 HPACK 압축 QPACK 압축 서버 푸시 지원하지 않음 지원함 지원함 요청 우선순위 지원하지 않음 지원함 지원함 연결 유지 Keep-Alive 연결로 유지됨 단일 TCP 연결로 다중 요청..

IT잡지식 2023.05.28

[Linux] linux history 다양한 옵션과 예제

Linux의 history 명령어는 사용자가 이전에 실행한 명령어들의 리스트를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 history 명령어를 사용하면 터미널에서 이전에 실행한 명령어를 검색하거나, 이전 명령어를 기반으로 새로운 명령어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옵션 설명 -c 히스토리 목록을 모두 지웁니다. -w 히스토리 목록을 현재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에 있는 기본 히스토리 파일에 저장합니다. -r 현재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에 있는 기본 히스토리 파일로부터 히스토리를 읽어옵니다. -a 현재 세션의 히스토리를 기본 히스토리 파일에 추가합니다. -n 히스토리 파일에 있는 명령어 중에서 현재 터미널 세션의 명령어와 겹치지 않는 명령어만 출력합니다. -p 히스토리 파일에 있는 명령어 중에서 현재 터미널 세션의 명령어와 겹치는 명..

Linux 2023.05.25

[Linux] 리눅스 nc 명령어에 대한 자세한 설명 및 예시

nc는 "netcat"의 준말로, TCP/IP와 관련된 네트워크 작업을 수행하는 유틸리티입니다. 주로 포트 스캐닝, 파일 전송 및 소켓 연결 확인 등 다양한 네트워크 관련 작업에 사용됩니다. 아래는 nc 명령어의 사용법과 예시입니다. 기본적인 사용법 nc [options] host port host: 연결하려는 호스트의 이름 또는 IP 주소 port: 연결하려는 포트 번호 -l (리스닝): nc를 서버로 동작시키고 연결을 대기합니다. -p (포트): 연결을 위해 사용할 포트 번호를 지정합니다. -u (UDP): UD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연결합니다. -v (상세): 더 상세한 출력을 보여줍니다. 예시 1: HTTP 요청 보내기 echo "GET / HTTP/1.1\r\nHost: www.example.c..

Linux 2023.05.20

[Linux] sudo -i 했을때 비밀번호 입력하지 않는 방법

sudo 명령어를 사용할 때 비밀번호를 입력하지 않으려면, sudo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 대해 비밀번호 입력을 생략하는 설정을 변경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단계를 따릅니다: root 계정으로 로그인합니다. 텍스트 편집기로 sudoers 파일을 엽니다. 일반적으로 visudo 명령어를 사용하여 이 파일을 열 수 있습니다. 다음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sudo visudo sudoers 파일이 열리면, 아래와 같은 내용을 찾습니다: %sudo ALL=(ALL:ALL) ALL 위의 내용을 다음과 같이 변경합니다: %sudo ALL=(ALL:ALL) NOPASSWD: ALL 이렇게 하면 sudo 그룹에 속한 사용자들이 비밀번호 입력 없이 sudo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파일을 저장하고 편집기를 종료합..

Linux 2023.05.18
반응형
LIST